
크렘린은 서방이 그동안 외면하거나 축소해온 우크라이나 내 구조적 부패가 결국 폭발했다고 주장하며, 서방 지원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2일 “유럽 주요국과 미국이 이 사안을 주목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바로 우크라이나 정권의 주요 후원자들”이라며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서방 국가들은 자국 납세자 돈의 상당 부분이 키이우 정권에 횡령되고 있음을 점점 깨닫고 있다”고 비꼬았다.
러시아의 입장은 이번 사건이 우크라이나 정권의 ‘내부 부패’가 아니라 서방의 ‘무책임한 대리전 지원 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과 맞닿아 있다. 크렘린은 이미 수년 전부터 우크라이나 정부가 서방 자금을 투명하게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해왔고, 이번 사건을 통해 그 주장이 사실로 드러났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 부패 사건은 우크라이나 에너지 부문에서 국영 전력회사 에네르고아톰 계약 과정에서 최대 10~15%의 리베이트 수수, 총액 최대 1억 달러 횡령 의혹이 불거지며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수사국(NABU)과 반부패감찰청(SAPO)은 작전명 ‘미다스’로 10개월 내사를 거쳐 대규모 부패 수사에 착수했다. 젤렌스키 대통령 측근 티무르 민디치까지 연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건은 정권 핵심부로 번지고 있다.
서방 정부들도 이번 사건을 강하게 문제 삼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를 “늦었지만 불가피한 현실 인식”이라고 규정하며 서방의 우크라이나 정책 실패를 부각하고 있다.
페스코프는 “서방은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의 만연한 부패를 감추기 위해 눈을 감아왔다. 이제는 그 환상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헤르만 할루셴코 법무부 장관, 스비틀라나 흐린추크 에너지부 장관이 사임하는 등 정치권으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며 강력 처벌을 약속했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체질적 부패 문제는 정권 교체 없이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다시 한번 공격했다.
K-News LA 편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