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는 7일 세계적 영장류 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를 만났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김 여사와 구달 박사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어린이정원에서 만나 동물권 증진에 관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김 여사와 구달 박사는 개 식용 과정에서 벌어지는 학대 문제가 다른 동물들과 인간 존엄을 위협한다는 우려를 공유했다.
구달 박사는 개 식용 문제에 관한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개와 다른 동물을 학대하는 식용 문화 종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김 여사는 이 문제에 대한 일관된 의지를 강조하며 한국사회가 개 식용의 종식을 지향하고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김 여사는 이어 구달 박사의 저서를 언급하며 “저도 반려견, 반려묘를 입양해 함께 생활하면서 동물과 생명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게 됐다”고 했다.
이에 구달 박사도 “내 반려견은 나의 동반자이자 스승”이라며 동물과 함께하며 많은 것을 깨달았다고 답했다.
김 여사와 구달 박사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며, 인간과 같은 감정을 가진 존재’라는 인식에 공감하고 미래세대 교육에 관한 대화를 나눴다.

김 여사는 오는 월말까지 용산어린이정원에 구달 박사의 저서와 관련 서적을 비치해 어린이들이 접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 김 여사와 구달 박사는 정원 내 조성 예정인 ‘어린이 환경·생태 교육관’ 예정지에 희망을 의미하는 산사나무를 심었다.
김 여사와 구달 박사는 또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에 관한 대화도 나눴다.
김 여사는 아프리카가 경제발전을 추구하는 동시에 생태계 보존과 환경 보호를 해나간다면 인류의 희망이자 미래 모델이 될 수 있다면서 “한국의 고도성장 경험과 첨단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아프리카가 도달하고자 하는 미래를 앞당기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여사는 이어 구달 박사가 1991년부터 수행해온 풀뿌리 환경운동 ‘뿌리와 새싹’을 언급하며 폐페트병을 활용해 제작한 ‘바이바이 플라스틱’ 티셔츠를 선물했다.
구달 박사는 현지 주민들과 소통하며 침팬지 서식지 파괴를 하지 않고 환경을 생각하는 개발을 추진할 수 있었던 ‘타카레(Takare)’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김 여사는 이날 구달 박사의 저서에 언급된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D 단조’를 틀었다. 구달 박사는 자신의 신간 ‘희망의 책’에 자필 메시지를 담아 김 여사에게 선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