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방송가에서 지나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MBC 시사교양국 출신 김재환 PD는 21일 유튜브 채널 ’45플러스’가 공개한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백종원의 방송 활동에 대해 여러 의혹을 폭로했다.
영상에서 김 PD는 “2015년 백종원 대표는 드디어 ‘방송 주도 성장 전략의 날개를 달아줄 프로그램을 만난다. 2015년 MBC 예능물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 출연 이후 연결 기준으로 매출이 510억원이나 폭증한다. 가맹점들이 계속 망해가도 백 대표가 방송에 자주 나오면서 신규 가맹점을 더 빨리 모으면 더본 코리아는 성장한다”고 말했다.
“‘마리텔’ 방송 이후 백 대표는 방송사가 거액의 출연료를 주며 모셔가는 거물이 됐다. 백 대표와 같이 방송을 해봤던 여러 제작진에게 물어봤다. 이때부터 백 대표가 방송사에 점점 무리한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 백 대표가 프로그램에 직접 지명한 작가, 촬영팀을 넣으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김 PD는 “프로그램 분위기는 PD와 촬영팀 호흡이 중요한데 이렇게 되면 담당 PD는 미치는 거다. 백 대표가 데려온 촬영팀이 백 대표 심기만 살피면 현장 권력은 그에게 쏠릴 수 밖에 없다. 백 대표가 데려온 작가와 회의하면 방송사 PD가 출연자에 대해서 냉정하고 객관적인 얘기를 할 수 있겠냐? 못한다. 회의 내용이 백 대표의 귀에 다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김 PD는 “심지어 백 대표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은 방송에서 하차했다. 그러면 CP나 PD가 갑자기 출연 못하게 된 분에게 직접 가서 사과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대부분 톱스타는 스태프 구성과 다른 출연자 언급을 굉장히 조심하는데 백 대표는 완전 다른 유형이었다. 방송가 불만은 점점 쌓여 갔지만 다 묻혔다. 백 대표가 자신이 방송사 사장과 형, 동생 하는 영향력 있는 사이라는 걸 제작진이 알게 되면 모든 게 원하는 대로 풀렸다”고 덧붙였다.
백종원 대표의 이같은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을 주장하는 관계자들이 등장했다.
이날 한경닷컴에 따르면, 과거 백종원과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한 연출자는 불거진 갑질 논란에 “우리 프로그램에서는 전혀 그런 적이 없다”며 “어떻게 이렇게까지 나오냐”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백종원 대표는 전문 방송인들과 달리 아쉬울 게 없는 사람이고, 그게 방송에서 매력으로 드러났다”며 “자신의 의견을 직설적이고 강하게 피력하는 스타일은 맞지만 ‘갑질’을 문제 삼을 정도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한 방송 관계자도 “백종원 대표가 사람을 가리는 것은 맞다”며 “자기가 하는 말을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지속해서 소통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피하려고 하는 건 본능 아니냐. 다만 방송가에는 훗날을 생각해 그래도 참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백종원 대표는 방송을 꼭 해야 하는 사람이 아니니 티를 내는 스타일이긴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본업이 있고, 사업하는 사람이 자기 홍보를 위해 방송 출연을 하는 게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며 “윈윈이 되면 하는 거고, 안 맞으면 안 하면 되는 것”이라고 전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