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슈퍼히어로 서사 같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다루고 싶었던 주제는 ‘수치심’이었어요.”
넷플릭스 글로벌 흥행작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매기 강(강민지) 감독이 22일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내한 간담회를 열고 작품의 뒷이야기를 전했다. 캐나다에서 자란 한국계 감독인 그는 “슈퍼히어로 같은 서사를 택했지만, 결국 다루고 싶었던 건 ‘수치심’이었다”고 밝혔다.
영화는 K-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악귀로 형상화된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와 맞서 싸우는 이야기다. 무당과 저승사자 모티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설정에 K-팝 아이돌 세계를 결합한 첫 해외 애니메이션으로, 한국 전통과 현대 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넷플릭스 영어영화 시청 순위 1위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주제곡 ‘골든’은 미국 빌보드와 영국 오피셜 차트 정상에 올랐다.
강 감독은 “애니메이션은 아이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다”며 “성숙한 주제를 담고 싶었다. 무속의 굿을 ‘첫 콘서트’라 생각하며 음악과 춤, 무속적 에너지를 K-팝과 연결했다”고 말했다. 이어 “헌트릭스 같은 여성 캐릭터를 통해 진짜 웃기고, 욕망을 숨기지 않는 여성을 그리고 싶었다. 코믹하면서도 강렬한 여성상은 제게 중요한 포인트였다”고 덧붙였다.

캐나다에서 자랐지만 한국적 뿌리를 강조한 그는 “어릴 적 학교에서 ‘한국이 어디냐’는 질문에 선생님이 지도에서 찾지 못해 충격을 받았다. 그때부터 우리나라를 알리고 싶었다”며 “정체성 혼란보다는 오히려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이 더 컸다. 언어를 간직해 온 덕분에 한국 문화와 긴밀하게 이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K-팝 산업의 어두운 면을 묻는 질문에는 “이번 영화는 첫 시도였고, 긍정적인 앵글만 보여주고 싶었다. 다만 빌런으로 설정된 사자보이즈는 팬덤의 양면성을 은유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고 답했다.
후속작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트로트나 헤비메탈 같은 장르를 더 보여주고 싶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또 “한국 콘텐츠가 세계에서 계속 사랑받기 위해선 자신감이 필요하다. 있는 그대로의 문화와 감성을 가감 없이 드러낼 때 진정성이 전해진다”고 강조했다.
강 감독은 “처음부터 끝까지 가장 중요한 건 스토리였다. 비주얼이 아무리 뛰어나도 캐릭터와 이야기가 힘을 잃으면 성공할 수 없다”며 “이번 성공도 결국은 스토리와 캐릭터가 관객과 맞닿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