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 증시는 30일(현지시간)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협상 재개와 고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완화로 매수 선행하면서 오름세를 이어간 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이날 지난 27일 대비 275.50 포인트, 0.63% 올라간 4만4094.77로 폐장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1.88 포인트, 0.52% 상승한 6204.95로 거래를 끝냈다.
3거래일 연속 오르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에 비해 96.27 포인트, 0.47% 오른 2만369.73으로 장을 마쳤다.
6거래일째 상승하면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과 캐나다 간 협상 재개로 타결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캐나다 재무부는 현안인 디지털 서비스세(DST)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DST가 미국 기술기업에 대한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공격이라고 주장하며 주말 무역협상을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캐나다의 DST 철회로 양국은 7월21일까지 합의를 목표로 교섭을 재개하기로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기한인 7월9일을 앞두고 시장에선 미국과 각국이 이견을 좁힐 것으로 관측하면서 4월 발동한 고관세 정책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완화, 투자심리를 유지하도록 했다.
미국 의회에서 트럼프 감세 연장을 핵심으로 하는 세출법안 심의가 진행하고 상원이 조만간 수정안을 가결한다는 전망이 확산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7월4일까지 관련 법안 성립을 추진함에 따라 관련 불안도 가셔져 매수를 유인했다.
투자은행주 골드만삭스와 JP 모건 체이스가 2.45%, 0.98% 뛰며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주말 대형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트레스 테스트(건전성 심사)에서 심각한 경기침체를 견딜 수 있는 상태라는 평가가 나온 게 호재로 작용했다.
스마트폰주 애플은 2.03%, 통신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2.27%, , 기계주 허니웰 1.76%, 신용카드주 비자 1.85%, IBM 1.75% 올랐다.
오락주 월트디즈니도 1.37%, 시스코 시스템스 1.06%, 헬스케어주 유나이티드 헬스 0.93% 상승했다.
반면 항공기주 보잉은 2.34%, 스포츠 용품주 나이키 1.39%, 아마존 닷컴 1.75%, 홈디포 0.57%, 고객정보 관리주 세일스포스 0.27% 떨어지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