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주4일제’ 단계적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 같은 정책 노력이 곧바로 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나왔다.
여성가족부는 12일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여성경제회의’에서 여성의 경제 참여 확대방안과 관련한 민·관 정책대화를 진행하고 발표자들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발표를 맡은 분휘 이 머크 헬스케어 총괄 부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24억명의 여성들이 경제적 기회에서 평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고 전 세계 무급 돌봄 책임의 76%는 여성이 수행한다”며 “돌봄 인프라를 강화하고 가족 친화적인 직장을 만들도록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크그룹은 지난해 미국의 포브스지로부터 ‘여성들을 위한 세계 최고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됐고, 4년 연속 기업평등지수 100%를 기록하고 있다.
이 부사장은 ‘주4일제가 저출생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근로시간을 줄인다고 해서 저출생 문제가 곧바로 해결되지는 않는다”며 “주4일제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근무하고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아이를 돌본다고 해도 아이가 반드시 주말에만 아프다는 법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와 회사, 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지속적인 대화를 계속해야 한다”며 “다른 경제체, 다른 나라와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크리스토프 하만 한국머크 대표도 “한국은 정말 우수한 정책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눈치’ 문화 때문에 있는 혜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한국 정부에서 고위급으로 승진한 여성과 대화를 나눈 적이 있는데, 아이가 아프면 상사에게 그대로 말하지 못하고 차라리 본인이 병가를 낸다고 하더라”며 “모든 직원들이 필요한 부분을 직접 얘기하고 기존에 있는 직장 정책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발레리 프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임경제학자는 “‘워라밸(일·생활 균형)’이 무너지면 여성은 자녀를 선택해야 하는 일이 많이 생길 수 있고, 이 때문에 출생률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근로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아이들과 함께 저녁시간을 보내는 것을 할 수 없게 된다. 결혼과 회사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또 돌봄노동에 대한 평가를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그는 “트럭운전사들이 돌봄노동자들보다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데 생각해보면 돌봄노동자들은 공감능력이나 참을성, 시간관리 능력 등 많은 능력을 필요로 한다”며, “유럽연합(EU)이나 호주에서는 돌봄노동자들의 임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현재 돌봄인력 10명 중 9명이 여성인 점에 착안해 남성들의 진입을 더 높이기 위한 노력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