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트럼프표 관세’로 타격을 입은 커피와 과일 등의 가격 안정을 위한 조치를 예고했다.
베선트 장관은 12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향후 며칠 안에 미국에서 재배되지 않는 것들에 관해 중대한 발표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커피가 그중 하나”라며 “바나나와 기타 과일”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번 조치로) 이들 가격을 매우 빠르게 내릴 것”이라고 했다.
현재의 물가 위기 책임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넘기기도 했다. 소비자 부담에는 가격과 소득이라는 두 요소가 있는데, 바이든 행정부에서 두 측면 모두 악화했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하려는 일은 고소득의 제조업 일자리를 다시 가져오려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동시에 소득 측면에서도 미국 노동자의 임금을 높이겠다고 했다.
올해 초부터 부과된 타국 상대 관세가 점차 미국에서 식료품값 등 물가에 반영되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비용 문제 해결에 고심 중이다.
특히 주목받는 부문은 커피로, 미국은 커피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에 무려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베트남과 콜롬비아도 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정부 자료를 인용, 지난 9월 기준 미국 내 커피 가격이 전년 대비 41% 올랐다고 보도했다. 바나나 가격은 지난 4월 ‘해방의 날’ 관세 이후 5%가까이 올랐다.
미국 언론 액시오스는 “최근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정부가 추적하는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보다도 가장 빠르게 오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커피 등 가격 인하를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에 나설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커피와 관련해 “일부 관세를 인하할 것”이라며 “이 모든 일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