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시각) 내과 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는 미국 콜로라도대 대니얼 오스텐도르프 박사팀의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
연구팀은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 165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무작위 임상 시험을 진행한 결과, 4:3 간헐적 단식이 일일 열량 제한 단식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체중 감량 전략으로서 간헐적 단식의 효과를 평가하는 12개월 이상의 장기 무작위 시험은 제한적”이라며 “특히 4:3 간헐적 단식과 일일 칼로리 제한 식이요법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연구를 위해 과체중 또는 비만(체질량지수·BMI 27~46㎏/㎡) 성인 165명을 무작위로 4:3 간헐적 단식 그룹(84명)과 일일 열량 제한 그룹(81명)으로 나눠 12개월 동안 체중 감량 효과를 측정했다.
4:3 간헐적 단식 그룹은 비연속적으로 주 3일 동안 하루 섭취 열량을 80% 제한하고 나머지 4일은 제한 없이 식사하도록 했다.
일일 열량 제한 그룹은 하루 섭취 열량을 35% 줄여 주간 섭취 열량의 총량을 4:3 간헐적 단식 그룹과 같게 했다.
또 두 그룹 모두 시험 기간 동안 기반 행동 지원과 중강도 신체 활동을 주당 300분으로 늘리라는 권장 사항 등을 포함한 고강도 종합 행동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12개월 뒤 측정한 결과 4:3 간헐적 단식 그룹은 체중이 평균 7.6% 감소했고, 일일 열량 제한 그룹은 평균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4:3 간헐적 단식 그룹의 58%가 평균 5% 이상 체중이 감소했지만, 일일 열량 제한 그룹은 47%만이 체중이 5% 이상 감소했다.
연구팀은 “특히 4:3 간헐적 단식 그룹은 수축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수치 등 심혈관 대사와 관련된 건강 지표가 더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또 “4:3 간헐적 단식을 선택함으로써 매일 열량을 계산하고 음식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는 부담을 줄이면서, 식이요법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며 “4:3 간헐적 단식을 체중 감량 식이요법 전략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콜로라도 대학 의학 조교수이자 해당 연구 주저자인 빅토리아 카테나치 박사는 ABC 뉴스에 “4:3 간헐적 단식 식이요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를 준수하기가 더 쉬운 것으로 보인다”며 “일일 열량 제한 식이요법도 고려할 전략이다. 그러나 매일 칼로리를 제한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