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가 방송 인터뷰에서 여전히 끈끈한 밀월 관계를 과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폭스뉴스가 방영한 머스크와의 공동 인터뷰에서 많은 이들이 둘 사이를 갈라놓으려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인터뷰는 두 사람이 진행자인 숀 해니티를 마주 보고 나란히 앉은 구도로 진행됐다. 현직 대통령과 민간인이 같은 선상에서 전 국민을 상대로 발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트럼프가 대통령으로서 통제권을 일론 머스크에게 양도했고, 머스크 대통령이 각료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말한다”라고 비꼬았다.
이어 “그들은 그런 일을 잘하지 못한다”라며 “국민은 똑똑하다. 상황을 이해한다”라고 했다. 머스크와 자신이 이런 이간질에 관해 대화한 적이 있다고도 말했다.
현재 행정부를 위한 머스크의 역할도 치켜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대통령이 그렇듯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다 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라고 운을 뗐다.
이런 상황에서 머스크가 재능 있는 청년들을 모집해 실제 업무를 수행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를 가리켜 “그는 정말로 지도자”라고 찬사를 보냈다.
해당 발언이 나오는 동안 머스크는 재킷을 열어 ‘기술 지원’이라고 적힌 제 티셔츠를 보여주며 자신이 트럼프 대통령을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머스크 쪽에서도 애정 어린 발언은 이어졌다. 지난해 대선 기간 발생한 암살 시도와 관계없이 “나는 어쨌든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할 예정이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나아가 머스크는 “나는 대통령을 사랑한다. 그 점을 명확히 하고 싶다”라며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좋은 남자라고 생각한다”라고 노골적인 애정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그렇게 말하다니 좋다”라며 흡족함을 표했다.
인터뷰에서는 둘 사이 불화의 잠재적 도화선으로 여겨지는 전기차 보조금도 거론됐다. 머스크는 이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뭔가를 요청한 적이 없다고 했다.
머스크는 “만약 문제가 있다면 나는 스스로 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문제가 생긴다면 당신(머스크)은 연루되지 않을 것”이라고 호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해 충돌과 관련해 거듭 머스크가 자신의 사업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으리라며 “나도 원치 않을 것이고, 그(머스크)도 원치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한때 트럼프 대통령과 앙숙에 가까운 사이였다. 그러나 지난 대선 머스크의 트럼프 대통령 전폭 지지를 계기로 관계는 극적으로 변화했다.
머스크는 연방정부 축소 공약을 이행할 핵심 기구인 정부효율부(DOGE)를 이끌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백악관 오벌오피스에 아들을 데리고 오도록 허용하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