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직에 ‘무기명 계약 중단’ 통보…국외 인력 귀국 등 문제 휴직·해고 개별 통지…미국내 인력 2000여명 감축절차 착수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대규모 직원 해고 초읽기에 나섰다. 트럼프 2기 연방정부 축소 기조에 따라 본격적인 폐지 수순을 밟는 모습이다.
AP와 폴리티코에 따르면 USAID는 23일 오후 11시59분을 기해 일부 핵심 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을 휴직 처리한다는 통지문을 내부 발송했다.
USAID는 동시에 미국 내 인력 2000여 명에 대한 감축 절차도 시작한다. 휴직·해고 대상과 제외 대상은 개별 통지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USAID에 대한 ‘트럼프표 감축’이 본격화 일환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직후 외국 원조를 담당하는 USAID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대외 원조 프로그램 집행도 중단했다.
이후 워싱턴DC 연방지법에서 USAID 직원 행정휴가 처분 등 사실상의 해고 절차를 제한하는 가처분 결정이 나왔으나, 정부 조치로 인한 피해 입증 미비를 이유로 곧 철회됐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휴직 및 해고 통보 대상에는 전 세계 재난에 신속 대응하는 업무를 맡은 인도주의 지원 부문 인력도 포함됐다.
이에 앞서 지난주에는 USAID 계약직 직원들이 계약 중단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해당 통보는 수백 명을 상대로 무기명으로 이뤄졌다.
AP는 “이런 무기명 통보 서한은 계약이 해제된 노동자가 실업 수당을 수령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외국 주재 직원들의 경우 일련의 절차가 급하게 진행되며 주택 계약 마무리 및 자녀의 학교 문제 정리, 귀국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AP는 “트럼프 행정부는 국외 원조와 개발 업무로 각 지역과 경제를 안정시키고 동맹을 구축함으로써 국익을 도모한다는 수십 년에 걸친 미국 정책을 뒤집고 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