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6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애플의 신규 대미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3국 정상회담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어디서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오늘 푸틴 대통령과 매우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답했다.
이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가 있다”며 “종전으로 가는 길은 길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매우 곧 회담이 곧 이뤄질 높은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는 이날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푸틴 대통령과 약 3시간 동안 만나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에 “매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평가했고, 유럽 동맹국들에도 회담 결과를 공유했다.
뉴욕타임스(NYT)와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정상들과 통화에서 이르면 내주 푸틴 대통령과 직접 만나고, 곧이어서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3자 회담을 열 계획이라고 알렸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관련 성명에서 “러시아 쪽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모두와 만날 용의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잔인한 전쟁을 끝내길 원한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위트코프 특사와 푸틴 대통령간 회담에서 휴전 합의를 위한 돌파구가 마련됐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돌파구라고 부르지는 않겠다”고 답했다.
미러간,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3국간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을 멈추기 위한 실질적인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한 백악관 관계자는 CNN에 필요한 협상과 장애물들을 고려할 때 다음주에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AP통신도 아직 회담 일정이 조율되거나 장소가 정해진 것은 아니라고 보도했다.
한편 종전을 위한 대화 분위기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러 관세 제재는 8일 예정대로 시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러시아 원유 수입 규모가 두번째로 큰 인도에 25% 추가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최대 수입국인 중국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 부과가 가능하다고 이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를 철폐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건 나중에 결정할 것이다. 당장은 그들은 총합 50% 관세를 내야한다”고 말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