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오픈AI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AI(인공지능) 업계의 ‘빅딜’이 잇따르는 가운데, 자금이 돌고 도는 ‘순환 거래’ 구조가 확산되며 일부 기업의 투자나 매출이 막힐 경우 연쇄적인 붕괴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성사된 대형 AI 거래들이 1990년대 말 닷컴버블 시기를 훨씬 웃도는 규모와 복잡성을 보이고 있으며, 자금의 흐름 역시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WSJ은 특히 데이터센터 투자 열기가 식을 경우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이중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칩과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가 각각 줄어 매출이 감소하고, 동시에 이들이 지분을 보유한 오픈AI 등 고객사의 기업가치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위험은 이들 거래가 ‘순환 자금조달’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고, 그 기업이 다시 그 돈으로 첫 번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식이다. 초기 자금이 없었다면 이후 거래도 불가능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순환 구조는 과거 통신장비업계에서도 나타났다. 1990년대 말 통신장비 제조업체들은 고객사에 장비 구매 자금을 빌려주며 자사 제품 판매를 유도했고, 이로 인해 매출이 급증했다. 그러나 고객사들이 자금난으로 잇따라 파산하자 이들은 부실채권을 떠안고 대규모 손실을 입었다.

WSJ은 지난달 발표된 엔비디아와 오픈AI 간 전략적 파트너십도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최대 10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오픈AI는 수백만 개의 엔비디어 고성능 칩을 구매하기로 했는데 자금이 순환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오픈AI·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오라클·AMD·코어위브 등 6개 기업 간 자본 흐름을 분석한 결과, “연결 화살표가 스파게티 한 접시처럼 얽혀 있었다”고 표현했다.
일례로 오픈AI는 앞으로 5년간 오라클로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구매하기로 했지만, 구매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지는 불투명하다. 만약 엔비디아의 1000억 달러 투자가 무산된다면 이 계약 자체가 성립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는 다시 오라클의 엔비디아 칩 구매 여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SJ은 “결국 현재의 AI 투자 열풍은 2000년대 초 인터넷 버블 당시의 ‘순환 거래’와 유사한 점이 많다”며 “순환 구조는 상승기에는 선순환을 만들지만, 하락기에는 악순환으로 바뀐다. 거래는 ‘돌아가는 동안은 문제없지만, 멈추는 순간 급격히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