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 철거가 아닌 이스트윙 전체를 부수고 공사비도 총 3억 달러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적 검토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2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복수의 미국 고위 행정부 관계자는 연회장 중축을 위해 오는 주말까지 동관 전체를 철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연회장 증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현 건물 인근에 지어지지만, 접하진 않을 것이다”라며 “난 기존 건물을 좋아한다. 완전히 존중할 것이다”라고 발언했다.
하지만 검토 결과 중축하는 것보다 전체 철거하는 게 비용면에서 더 저렴하고, 구조적으로 더 안전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백악관 동관은 영부인 사무실과 의전 공간으로 쓰이는 건물이다. 지하 벙커인 대통령 비상작전센터(PEOC)도 위치해 있다.
1902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시절 백악관 확장 과정에서 지어졌고, 1940년대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 대대적인 개조를 거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작은 건물”이라며, 이곳을 증축해 국빈 만찬 등 행사에 사용하는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약 8400㎡(약 2530평) 규모에 999명 수용 가능한 대형 연회장을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백악관 중앙 관저(약 5110㎡)의 두 배에 버금가는 규모다.
역사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는 대형 공사를 법적 절차를 밟지 않은 채 강행하자 우려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영리 단체 미국역사보존신탁은 전날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새 연회장은 백악관 자체를 압도할 것”이라며 “법적으로 요구되는 공개 검토 절차를 거칠 때까지 철거를 중단해 달라”고 촉구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 시절 역사보존자문위원장을 맡았던 사라 브로닌 조지워싱턴대 법학교수는 NYT에 “백악관 동관을 철거하는 건 국가역사보존법에 위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사비 규모와 조달 과정도 비판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공사비가 2억5000만 달러(약 3600억원)가 될 것이라고 했는데, 이날은 약 3억 달러(4300여억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천만 달러 규모 기부금을 모금해 비용을 조달하겠다고 했는데, 기부자 명단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사비를 출연하겠다고도 했지만, 정확한 금액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백악관은 현재 철거 단계로, 건설 작업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만큼 국가수도계획위원회(NCPC)에 계획서를 제출할 의무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NBC에 백악관은 상징성 있는 독특한 자산으로, NCPC 등 승인 절차를 밟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백악관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역대 대통령들도 백악관을 개조해 왔다며, 이 같은 지적은 “정신 나간 좌파들과 그들의 ‘가짜 뉴스’ 동맹의 조작된 분노”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백악관 그랜드볼룸 신축에 비난 쇄도 다른 대통령도 했다
관련기사 백악관 이스트윙 철거 공사 충격적 사상 최대 변화예고